게임 히스토리
[게임비평잡지]게임 크리티시즘 Vol. 15 1997년 07월[1부 디아블로편]
라면맨
2025. 5. 16. 02:27
728x90
Game Criticism Vol. 15 July 1997
[게임비평]Game Criticism Vol. 15 July 1997 [1부 디아블로편]
https://ramenman-game-history.tistory.com/697 |
[게임비평]Game Criticism Vol. 15 July 1997 [2부 디아블로편]
https://ramenman-game-history.tistory.com/698 |
[게임비평]Game Criticism Vol. 15 July 1997 [3부 디아블로편]
https://ramenman-game-history.tistory.com/699 |
1. 게임 비평 잡지 "Game Criticism" 소개
[Game Criticism]은 일본에서 발간되었던 희귀한 형태의 게임 전문 잡지로, 이름 그대로 비평적 시각에서 게임을 다루는 데 중점을 둔 매체였습니다.
이 잡지는 일반적인 게임 잡지들이 주로 다루는 신작 정보, 공략, 리뷰 중심의 편집 방향에서 벗어나, 게임이라는 매체 자체에 대한 철학적·문화적·예술적 분석과 논평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개요
- 잡지명: Game Criticism (게임 크리티시즘)
- 국가: 일본
- 형태: 비정기 간행물 또는 소규모 정기 간행물
- 출판 시기: 1990년대~2000년대 초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됨
- 발행 형태: 소규모 출판사 또는 동인지 형태로 발간되었을 가능성도 있음
- 특징:
- 단순한 리뷰가 아닌 비평(크리티시즘) 중심의 콘텐츠 구성
- 게임의 스토리텔링, 미학, 인터랙션 디자인, 플레이어 경험에 대한 분석
- 서양의 예술 비평 방식이나 문예 비평적 접근을 게임에 적용하려는 시도
- 학술적인 색채가 짙은 글도 종종 실렸음
주요 내용 및 영향
- 일본 내의 비디오 게임에 대한 담론 형성에 일부 기여한 잡지로 평가됩니다.
- 학술적 또는 이론적인 기반에서 게임을 논의하는 선구적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, 후대의 게임 연구자나 평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.
- 비슷한 시기의 다른 일본 잡지들과는 다르게 대중적이지는 않았으나, 매니아층이나 게임 연구자들에게 인상적인 존재로 남아 있음.
참고사항
- ‘Game Criticism’이라는 이름 자체가 영어식이기 때문에, 실제 일본어 제목은 영어 그대로 쓰였을 가능성이 큽니다.
- 현재는 절판된 상태로, 인터넷 아카이브나 일부 컬렉터들 사이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.
- 일본 외에도 유사한 시도는 있었지만, 이 잡지는 특히 일본 게임 문화 내부에서의 비평적 시각을 담은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.
2. 기사 소개 목차
- 디아블로 소개
- 디아블로 공략
- 아이템 리스트
- 디아블로 [일본어판] 미발매 이유 인터뷰
- 배틀넷 소개편
- 디아블로 PK전
- 디아블로 회화
- 디아블로 용어사전
- 게임비평 "이와타 사토시"
- 게임비평 "시부야 요이치"
- 게임비평 "다카하시"
- 게임비평 "미즈노 타카시"
- 게임비평 만화
- 네트워크 대응 게임소게
- 디아블로 게임비평
- 디아블로 커버 아티스트 "테라다 카츠야" 인터뷰
3. 일러스트집 소개
- 표지소개
- 콘텐츠 순서
- 디아블로 소개
- 디아블로 공략
- 아이템 리스트
- 디아블로 [일본어판] 미발매 이유 인터뷰
- 배틀넷 소개편
- 디아블로 PK전
- 디아블로 회화
- 디아블로 용어사전
- 게임비평 "이와타 사토시"
- 게임비평 "시부야 요이치"
- 게임비평 "다카하시"
- 게임비평 "미즈노 타카시"
- 게임비평 만화
- 네트워크 대응 게임소게
- 디아블로 게임비평
- 디아블로 커버 아티스트 "테라다 카츠야" 인터뷰
반응형